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퇴직 준비 중인 50대, 연금저축 적립액은 얼마나 될까?

by 돈굴소 2024. 10. 9.

많은 직장인들이 퇴직 후의 삶을 대비하기 위해 연금저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50대가 되면 퇴직이 다가오면서 연금저축에 대한 관심이 커집니다. 그런데 같은 직장인이라도 연금저축 적립액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과연 직장인들은 어떻게 연금저축을 활용하고 있을까요?

출처:라이나생명

 

💰 연령대별 연금저축 평균 적립액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가구의 연금저축 평균 적립액은 3,295만 원입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는 1,816만 원, 40대는 3,347만 원, 50대는 4,444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적립액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특히 50대가 되면 퇴직이 임박한 만큼,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집니다.

 

 

 

 

👫 기혼자가 싱글보다 더 많은 연금저축을 모은다?

흥미로운 점은, 연금저축 적립액이 배우자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것입니다. 기혼자의 평균 적립액은 3,651만 원으로, 싱글 직장인(2,288만 원)보다 1.5배나 많았습니다. 이는 기혼자들이 더 체계적으로 저축과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는 결과로 분석됩니다.

 

📊 연간 납입액의 큰 격차, "0원" 납입자도 있다

연금저축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연간 납입액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직장인들의 평균 연간 납입액은 465만 원입니다. 그러나 17.1%의 응답자는 100만 원 미만을 납입하고 있으며, 20%는 아예 0원을 납입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싱글 남성 직장인의 경우 연금저축 무가입자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 연금저축에서 1,000만 원 이상 납입하는 고소득층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 원이지만, 일부 고소득 직장인은 1,800만 원까지 납입해 세제 혜택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세액공제를 통해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금융소득종합과세에서도 제외되는 등의 이점을 누리고 있습니다. 고소득층은 이러한 제도적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싱글 여성의 연금 준비가 더 탄탄하다

싱글 남성보다 싱글 여성의 노후 준비가 더 철저하다는 점도 눈에 띕니다. 싱글 여성의 연금저축 납입액은 연 366만 원으로, 싱글 남성(311만 원)보다 더 많았습니다. 이는 싱글 여성이 장기적인 재정 계획을 더 체계적으로 세우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100세까지 산다면 얼마나 필요할까?

직장인들이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는 가구 기준으로 월 297만 원 정도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6억 5,881만 원의 노후 자금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하지만 100세까지 살 경우, 필요한 자금은 약 10억 원으로 늘어납니다. 이는 예상보다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연금저축, 절세와 노후 대비의 핵심

결론적으로, 연금저축은 직장인들에게 절세와 노후 대비라는 두 가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50대 직장인이라면 지금이라도 자신의 연금저축 적립액을 점검하고, 더 나은 노후를 위해 추가적인 준비를 해야 할 시기입니다. 연금저축을 통해 든든한 노후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라도 철저한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0.11 경제 뉴스  (6) 2024.10.11
2024.10.10 경제 뉴스  (10) 2024.10.10
2024.10.08 경제 뉴스  (10) 2024.10.08
2024.10.07 경제뉴스  (7) 2024.10.07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 정리  (5)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