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시장이 요동치는 가운데, 투자자들 사이에서 금과 은 같은 안전 자산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최근 인터뷰에서 "2월에 역사적인 증시 폭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금, 은, 암호화폐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기요사키는 이전에도 미국 증시 붕괴를 경고했지만, AI(인공지능) 기술의 붐으로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강세를 보이며 그의 예측이 빗나간 바 있다. 하지만 이번 경고가 현실이 된다면, 금과 은은 과연 투자자들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될 수 있을까?
💰 금과 은, 안전한 투자 자산일까?
금은 오랫동안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혀왔다. 주식 시장이 폭락할 때 금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어, 경제 위기 때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금이 안전 자산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가치 – 어떤 나라에서도 인정받는 실물 자산
- ⏳ 역사적 희소성 –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장기적으로 가치가 보존됨
- 📉 위기 발생 시 가격 상승 – 경제 불안정성이 높아질수록 수요 증가
반면, 은은 산업용 수요도 많은 원자재다. 따라서 경기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대체로 금과 유사한 가격 움직임을 보인다.
🔎 금과 은, 어떻게 투자할까?
금과 은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각 투자 방법의 장단점을 살펴보자.
- 🏅 현물 투자 – 직접 금괴나 은괴를 구매 (보관 비용 발생)
- 📊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 금·은 가격에 연동되는 ETF를 매수
- 💳 금 통장 활용 – 은행에서 금을 계좌로 거래 (실물 없이 보유 가능)
- 📈 ETN(상장지수채권) 투자 – 레버리지를 활용해 가격 변동성 극대화
대표적인 금 ETF로는 미국의 SPDR Gold Shares(GLD), 한국의 KODEX 골드선물(H)이 있으며, 현물 금 가격과 연동되는 ACE KRX 금현물 ETF도 인기다. 해당 ETF는 올해 순매수 규모가 770억 원을 돌파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 금값 전망… 지금 투자해도 될까?
금값은 현재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해 있다. 지난해 초 온스당 약 2,000달러였던 금값은 현재 2,700달러 부근까지 상승했다. 이는 1년 동안 33% 이상 오른 것으로, 나스닥 상승률(28%)보다도 높다.
그러나 금값이 이미 많이 올랐기 때문에, 추가 상승 여력이 적다는 의견도 있다. 역사적으로 금값 최고치는 1980년대 2차 오일쇼크 당시 2,940달러였으며, 현재 가격이 이 수준에 근접하면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현재 금값 상황 정리
- 📊 현재 가격: 온스당 2,700달러
- 📈 최근 1년 상승률: 33%
- 🔺 역사적 최고치: 2,940달러 (1980년대 오일쇼크)
💡 은도 주목해야 할까?
금 투자에 부담을 느낀다면, 은에 대한 관심도 고려할 만하다. 은은 금보다 변동성이 크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금·은 비율(Gold-Silver Ratio, GSR)을 통해 은이 저평가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통 GSR이 80~100 수준이면 금보다 은이 저평가된 것으로 보는데, 최근 GSR이 89.6을 기록하면서 은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신호를 보이고 있다.
📌 현재 은값 상황 정리
- 📊 현재 가격: 온스당 30달러
- 📈 최근 1년 상승률: 30%
- 📉 GSR 지표: 89.6 (금 대비 저평가 상태)
NH투자증권은 올해 은값이 온스당 40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는 13년 만의 최고치가 될 수 있는 수준이다.
📢 금·은, 지금 투자해야 할까?
✅ 금값은 이미 높은 수준이지만, 증시 폭락 시 추가 상승 가능성 존재
✅ 은은 상대적으로 저평가 상태로, 중장기 투자 매력 있음
✅ 증시 불안이 커질 경우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금·은 수요 증가 예상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02.03 경제 뉴스 : 미국의 관세 전쟁,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외 (0) | 2025.02.03 |
---|---|
📈 "10만 원이 100만 원 간다?" 네이버 주가 반등, 다시 국민주 될까? (0) | 2025.02.01 |
⚛️ 양자컴퓨터 상용화, 정말 먼 미래 이야기일까? (0) | 2025.01.30 |
🚨 트럼프의 "전기차 의무화 철회" 선언… K-배터리 산업에 닥친 위기와 기회 (3) | 2025.01.30 |
💰 월세 1000만 원 시대! 초고가 월세가 뜨는 이유와 부동산 시장 변화 (1)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