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결혼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이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의 1인가구는 연소득 3천만 원 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
📈 1인가구, 매년 증가세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통계로 보는 1인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가구는 782만9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19년 30%를 처음 돌파한 이후 매년 최고 기록을 경신 중입니다. 📈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19.1%로 가장 많았고, 이어 29세 이하(18.6%), 60대(17.3%), 30대(17.3%) 순이었습니다. 2022년까지는 29세 이하가 가장 많았지만, 작년 처음으로 70세 이상이 역전했습니다. 🧓👩🎓
💰 1인가구, 소득 격차와 경제 현실
1인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3,223만 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7,185만 원)의 44.9%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 1천만~3천만 원 미만: 41.5%
- 3천만~5천만 원 미만: 26.1%
- 1천만 원 미만: 14.1%
1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63만 원으로 전체 가구(279만2천 원)의 58.4% 수준이었습니다. 주요 지출 항목은:
- 주거·수도·광열비: 18.2%
- 음식·숙박: 18.0%
자산은 평균 2억1,217만 원, 부채는 4,012만 원으로, 전체 가구 대비 각각 39.3%, 44.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
🏚️ 10명 중 7명은 무주택자
1인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31.3%로, 10명 중 7명이 무주택자였습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소유율이 증가했으며:
- 70세 이상: 49.4%
- 60대: 43.4%
- 50대: 37.6%
💼 취업하는 1인가구, 지속 증가
2023년 기준 취업자 1인가구는 467만5천 가구로, 전년 대비 12만 가구 증가했습니다. 연령별 취업 비중은:
- 50~64세: 26.5%
- 30대: 23.3%
- 15~29세: 19.4%
취업과 자립을 추구하는 1인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 사회 불안 요인 1위는 '범죄'
1인가구는 가장 큰 사회적 불안 요인으로 범죄(17.2%)를 꼽았습니다. 이어:
- 경제적 위험: 16.9%
- 국가 안보: 16.5%
- 신종 질병: 9.2%
특히, 범죄에 대한 우려는 2년 전보다 4.4%p 증가하며 큰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1인가구가 바라는 정책
1인가구가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은:
- 주택 안정 지원: 37.9%
- 돌봄 서비스 지원: 13.9%
- 심리·정서적 지원: 10.3%
60대까지는 주택 안정 지원이 가장 중요하게 꼽혔고, 70세 이상에서는 돌봄 서비스가 최우선 과제로 나타났습니다. 🏠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2.10 경제 뉴스 : 주식 시장의 급락 외 (1) | 2024.12.10 |
---|---|
2024.12.09 경제 뉴스 : 한국 정치와 경제의 불확실성 외 (3) | 2024.12.09 |
2024.12.06 경제 뉴스 : 자산 이동과 비트코인 외 (4) | 2024.12.06 |
📰 2024.12.05 경제 뉴스 : 정치적 혼란과 경제 위기 우려 외 (0) | 2024.12.05 |
2024.12.04 경제 뉴스 : 비상 계엄령 외 (4) | 2024.12.04 |